에기연은 기술 격차 원인에 대해 "미국과 유럽은 이미 대규모 상용화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고, 일본과 중국도 중대형 실증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며 "한국은 실증 사업도 파일럿 단계에 머물고 있고, 대규모 저장소는 아직 탐색 중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현실을 감안할 때 정부 주도의 CCUS 육성은 섣부른 정책이란 지적이 많다. 박지혜 플랜1.5 변호사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어떤 투자를 할지는 산업 및 시장 동향을 잘 아는 기업이 스스로 결정하는 게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CCUS라는 신기술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앞장서서 이를 장려하는 건 기업에 '당장은 탄소배출량 감축에 투자하지 않아도 된다'는 시그널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70800330005343?did=N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