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상 최저로 떨어진 K탄소배출권 가격...해법은 동상이몽

반면 환경단체는 정부가 기업에 공짜로 나눠준 배출권이 너무 많아 제도 실효성을 떨어뜨린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배출권 무상 할당 비율은 배출권 거래제 1차 계획 기간(2015~2017년)에는 100%, 2차 때(2018~2020년)는 97%였다. 3차(2021~2025년)는 90%다. 돈을 받고 할당하는 비율이 높으면 산업 경쟁력이 떨어질 거라는 기업 우려를 반영한 결과인데 환경단체들은 '정부가 쓰레기종량제를 실시하면서 공짜로 종량제 봉투를 나눠 준 격'이라고 비판한다. 기업들이 공짜로 받는 배출권이 많아 탄소 배출을 조금만 줄여도 내다 팔 수 있는 배출권이 많고 그래서 가격도 떨어졌다는 말이다. 유럽은 전체 배출권의 57%(발전 업종은 100%)를 유상 할당하고 있다.


환경단체 플랜 1.5의 보고서 '고장 난 배출권거래제 쟁점과 대안'에 따르면 국내 탄소 배출 1위 기업인 포스코는 배출권 거래제를 운영한 6년 동안 2018년을 제외하고 배출권이 부족한 적이 없었고 오히려 배출권 거래 등을 통해 1,100억 원의 이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같은 기간(2015~2020년) 발전 공기업들은 배출권이 7,150만 톤 모자랐고 주요 대기업이 판매한 배출권은 5개 발전 공기업이 대부분 산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어 "산업 부문의 느슨한 무상 배출권 할당 결과는 간접적으로 한전의 전기요금 상승을 가져온 여러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고 질타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91315360000205?did=NA




조회수 14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