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대응 시민사회 공동 토론회

최종 수정일: 3월 2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23년 3월 25일 이전에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과 2030 NDC 수정안이 확정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국제사회의 합의기준인 1.5도 목표에 한참 못미치거나 기존 국내 기후정책보다 후퇴될 가능성이 큽니다. 수립 과정 또한 졸속적이고 비민주적이어서 소위 ‘깜깜이 계획’이라 비판받고 있습니다. 시민사회 차원의 공론화 작업을 비롯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이에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이 계획에 기후운동의 목소리는 어떻게 담겨야 하는지 시민사회 차원의 공동 토론회(3/2 오전 10시)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토론회 개요>

✍️ 주제: 깜깜이로 추진하는 장기 국가 기후정책,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기본계획의 문제점과 기후운동의 목소리

⏰ 일시 : 2023. 3.2(목) 오전 10시 ~12시


🏛 장소 :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420호


🌏 주최: 그린피스, 기후미디어허브, 기후위기기독인연대, 기후정의동맹, 녹색교통, 녹색연합, 민주노총, 앰네스티 한국지부, 청소년기후행동, 탈성장과대안연구소, 플랜1.5, 환경운동연합, (추가 중)


<세부 내용>

▪️사회: 권우현(환경운동연합) / 좌장: 민정희(ICE 네트워크)

▪️기조 발제 (15분씩)

-주제1_한국 정부 기후정책의 흐름과 실패 (이명박 정부 ~ 문재인 정부까지): 온실가스 감축 정책과 녹색성장을 중심으로 (박지혜, 플랜1.5)

-주제2_윤석열 정부의 기후정책과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기본계획의 문제점과 대안 (황인철, 녹색연합)

▪️패널 발제 (10분씩):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대한 시민사회의 입장과 목소리 (청소년기후행동, 농민_금창영, 민주노총, 녹색교통_김광일, 그린피스_장다울 등)

-종합 토론:

자료집_탄소중립_녹생성장_기본계획_대응_시민사회_공동_토론회
.pdf
Download PDF • 67.59MB

조회수 36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