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출범에 부쳐 - "누가 어떻게 2035 NDC 목표를 결정해야 하는가"
2025년 한국은 중대한 기후정책 과제를 앞두고 있습니다. 2024년 9월 탄소중립법 헌법불합치 판결에 따라 2026년 2월까지 2031~2049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경로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2025년 상반기에 상향된 2035년 국가결정기여(NDC) 목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목표와 정책을 '누가', '어떻게' 결정하는지 질문하고자 합니다.
2기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출범에 부쳐 - "누가 어떻게 2035 NDC 목표를 결정해야 하는가"
2025년 한국은 중대한 기후정책 과제를 앞두고 있습니다. 2024년 9월 탄소중립법 헌법불합치 판결에 따라 2026년 2월까지 2031~2049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경로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2025년 상반기에 상향된 2035년 국가결정기여(NDC) 목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목표와 정책을 '누가', '어떻게' 결정하는지 질문하고자 합니다.
※ 현장 접수는 선착순으로 진행됩니다.
❍ 좌장: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
- 김보림 (청소년기후행동 활동가)
- 김아현 (대학생기후행동 활동가)
- 서연화 (여성환경연대 기후정의팀 팀장)
- 신지연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사무총장)
- 윤태환 (루트에너지 대표)
- 남태섭 (전국전력산업노동조합연맹 사무처장)
- 여형범 (충남연구원 연구위원)